본문 바로가기
시사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무량판 구조의 안전성

by 태봉82 2023. 8. 14.
728x90

안녕하세요,  최근에 개봉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개봉 4일 만에 1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영화는 대지진으로 폐허가 된 서울에서 유일하게 남은 황궁 아파트로 생존자들이 모여드는 이야기를 그립니다.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요즘 논란이 있는 무량판 구조에 대해 궁금해졌습니다. 무량판 구조는 정말로 지진에 강한 구조인가요? 아니면 영화처럼 쉽게 붕괴될 수 있는 위험한 구조인가요? 이 글에서는 무량판 구조의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량판 구조
무량판 구조: 보 없이 슬래브가 기둥에 직접 앉히는 건물 구조(출처:civilera. com-네이버 지식백과)

 

반응형


## 무량판 구조란?

무량판 구조란 보가 없이 기둥과 슬래브로 구성된 구조로, 슬래브의 하중이 기둥을 통해 기초로 전달되는 방식입니다. 무량판 구조는 층간소음에 유리하고 층고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보가 없기 때문에 공간의 자유도가 높고, 인테리어나 가구 배치에 제약이 적습니다. 하지만, 무량판 구조의 단점은 슬래브의 두께가 두껍다는 것입니다. 슬래브의 두께가 두껍다면, 슬래브의 중량도 증가하고,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도 커집니다. 또한, 지진이나 바람 등의 수평력에 취약하다는 것입니다. 수평력을 받으면 슬래브가 휘어지거나 꺾일 수 있으며, 기둥과 슬래브 사이의 접합부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무량판 구조의 안전성은?

무량판 구조의 안전성은 제대로 설계되고 시공되면 안전한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실공사, 불법 증축, 하중 초과, 양생 규정 위반, 지반 침하 등의 다른 원인들이 있으면 안전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붕괴 사고로 유명한  삼풍백화점, 광주 화정 아이파크, 플로리다 챔플레인 타워 등의 붕괴 사고가 무량판 구조와 연관되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사고는 무량판 구조 자체의 문제보다는 다른 원인들이 주된 원인이라는 것이 중론입니다. 따라서, 무량판 구조를 일괄적으로 비난하거나 규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무량판 구조의 설계와 시공에 대한 기준과 감독을 강화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무량판 구조의 장단점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