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박람회는 인류의 산업, 과학기술, 문화, 환경 등의 발전과 변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 각국의 협력과 공유를 촉진하는 대규모 국제 행사입니다. 세계박람회는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로 꼽히는 행사로,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국가의 브랜드와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됩니다. 2030년 세계박람회의 개최지는 2023년 11월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BIE 총회에서 181개 회원국의 비밀투표로 결정되었는데, 우리나라 부산을 비롯해 이탈리아 로마,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등 3개국의 주요 도시가 경쟁을 벌였습니다. 각 후보국들은 자신들의 주제와 비전, 그리고 개최 계획을 BIE 총회에서 여러 차례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소개하고, 회원국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쳤으나 결국,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가 2030년 세계박람회의 개최지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세계박람회란 무엇인지, 세계박람회 유치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얼마나 되는지, 또한 세계박람회 유치 후보국들의 이유와 전략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세계박람회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와 관심을 가지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세계박람회란 무엇인가?
세계박람회는 영어로 엑스포(Expo)라고도 하며, exposition의 줄임말입니다. 전시회와 설명회를 뜻하며, 세계박람회기구(BIE) 협약 1조에 따르면 '엑스포란 인류의 노력으로 성취된 발전의 모습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일반대중의 계몽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전시라고 돼 있습니다'. 세계박람회는 BIE에 등록돼 5년마다 개최하는 등록 엑스포와 BIE에 인정돼 2년마다 개최하는 인정 엑스포로 나뉩니다. 등록 엑스포는 전시 면적과 기간에 제한이 없으며, 참가국들이 자국 전시관을 설계하고 건설합니다. 인정 엑스포는 전시 면적을 최대 25ha로 제한하며, 개최국이 전시관을 지어 참가국에 무상으로 제공합니다.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 엑스포, 2012년 여수 엑스포 등 인정 엑스포를 2차례 개최한 경험이 있지만, 등록 엑스포를 유치한 적은 없습니다.
세계박람회는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로 꼽히는 대규모 국제 행사로,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국가의 브랜드와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됩니다. 세계박람회는 인류의 산업, 과학기술 발전 성과를 소개하고 개최국의 역량을 보여주는 행사로, 과거 인류의 문명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그리고 미래의 발전 전망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계박람회는 또한 다양한 문화와 인종, 종교,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평화의 장이기도 합니다. 세계박람회는 1851년 영국 런던에서 처음 열린 이래로 17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100여 개의 세계박람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유치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는 무엇인가?
세계박람회를 유치하고 개최하는 것은 국가와 도시에게 큰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줍니다. 세계박람회는 개최국과 참가국의 국제적인 명성과 인지도를 높여주며, 관광과 무역, 투자 등의 수익을 증대시킵니다. 또한, 세계박람회는 개최지의 인프라와 환경, 산업과 기술, 문화와 예술의 발전을 촉진시킵니다. 세계박람회의 경제적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개최국의 경제적 효과: 세계박람회는 개최국의 국내총생산(GDP)과 총수요를 증가시킵니다. 세계박람회를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건설, 운송, 서비스, 보안 등의 분야에서 많은 일자리와 소득이 창출됩니다. 세계박람회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개최국의 숙박, 식음료, 쇼핑, 문화예술 등의 산업에 많은 지출을 하게 됩니다. 세계박람회는 개최국의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여주며, 국제사회와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시킵니다. 세계박람회의 개최국에 대한 경제적 효과는 다양한 연구와 보고서에 의해 측정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0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박람회는 상하이의 GDP를 1.2% 증가시켰으며, 730만 개의 일자리와 182억 달러의 소득을 창출했다고 합니다. 또한, 2015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세계박람회는 이탈리아의 GDP를 0.3% 증가시켰으며, 200만 명의 관광객과 23억 유로의 수익을 얻었다고 합니다.
- 개최지의 경제적 효과: 세계박람회는 개최지의 인프라와 환경, 산업과 기술, 문화와 예술의 발전을 촉진시킵니다. 세계박람회를 위해 개최지는 교통, 통신, 에너지, 수도, 하수 등의 기반시설을 개선하고, 전시장, 호텔, 공원, 문화시설 등의 새로운 시설을 건설하게 됩니다. 세계박람회는 개최지의 환경문제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며, 친환경적인 기술과 솔루션을 도입하고, 재활용과 재생에 대한 노력을 강화하게 됩니다. 세계박람회는 개최지의 산업과 기술의 경쟁력과 혁신성을 높여주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기업과의 협력과 교류를 촉진하게 됩니다. 세계박람회는 개최지의 문화와 예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높여주며,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과학과 인문의 조화를 보여주게 됩니다. 세계박람회의 개최지에 대한 경제적 효과는 개최 후에도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70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세계박람회는 오사카의 국제적인 명성과 지위를 높여주었으며, 전시장은 오사카 엑스포 '70 공원으로 남아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또한, 1988년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세계박람회는 브리즈번의 도시재생과 환경개선에 기여하였으며, 전시장은 남은뱅크 파크랜드로 남아서 호주 최대의 도시공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30년 세계박람회 유치 후보국들의 이유와 전략은 무엇이었나?
2030년 세계박람회의 개최지 유치 후보국은 부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의 3곳이었으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유치 신청을 했으나, 각각 철회하고 탈락했습니다. 각 후보국은 자신들의 유치 이유와 주제, 비전을 BIE 총회에서 여러 번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설명했고, 회원국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각 후보국의 유치 이유와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한민국, 부산
부산은 2030년 세계박람회의 주제로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를 제안했습니다. 부산은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국제적인 항만 도시로, 세계 최대의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신항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부산은 또한 한류의 중심지로, 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뮤직페스티벌, 부산국제코믹페스티벌 등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부산은 세계박람회를 통해 인류의 산업, 과학기술, 문화, 환경 등의 발전과 변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 각국의 협력과 공유를 촉진하고자 했습니다. 부산은 세계박람회의 개최지로 부산 북항 2단계 재개발 대상지 344만㎡를 선정했으며, 2030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6개월간 세계박람회를 계최할 계획이었습니다.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는 2030년 세계박람회의 주제로 '변화의 시대: 지구를 선견지명이 있는 내일로 이끌다'를 제안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의 대표적인 석유 생산국으로, 세계 최대의 석유 수출국이기도 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또한 이슬람의 성지로, 메카와 메디나 등의 종교적인 유적과 문화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박람회를 통해 인류의 환경, 에너지, 기술, 문화 등의 변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 각국의 혁신과 지속가능성, 다양성과 포용성, 문화와 예술의 가치를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박람회의 개최지로 리야드 북부에 위치한 438ha의 대지를 선정했으며, 2030년 10월 23일부터 2021년 4월 22일까지 6개월간 세계박람회를 개최할 계획이었습니다.
- 이탈리아, 로마
이탈리아는 2030년 세계박람회의 주제로 '지식의 재발견: 과거, 현재, 미래의 다리'를 제안했습니다. 이탈리아는 유럽의 부트 모양의 반도에 위치한 국가로, 로마 제국의 후예이며, 르네상스의 발상지입니다. 이탈리아는 또한 예술, 문화, 음식, 패션, 축구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는 세계박람회를 통해 인류의 역사, 문화, 과학, 기술 등의 지식을 재발견하고, 세계 각국의 창의성과 협력을 촉진하고자 했습니다. 이탈리아는 세계박람회의 개최지로 로마 남부에 위치한 500ha의 대지를 선정했으며, 2030년 5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6개월간 세계박람회를 개최할 계획이었습니다.
마무리
이 글에서는 2030년 세계박람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계박람회는 인류의 산업, 과학기술, 문화, 환경 등의 발전과 변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 각국의 협력과 공유를 촉진하는 대규모 국제 행사입니다. 2030년 세계박람회의 개최지는 2023년 11월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BIE 총회에서 181개 회원국의 비밀투표로 결정되었는데, 우리나라 부산을 비롯해 러시아 모스크바, 이탈리아 로마, 우크라이나 오데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등 5개국의 주요 도시가 경쟁을 벌였습니다. 각 후보국들은 자신들의 주제와 비전, 그리고 개최 계획을 BIE 총회에서 여러 차례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소개하고, 회원국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쳤습니다. 결국,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가 2030년 세계박람회의 개최지로 선정되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박람회의 주제로 '변화의 시대: 지구를 선견지명이 있는 내일로 이끌다'를 제안했으며, 국제적인 지지도와 코로나19의 영향 극복, 국내적인 지지도 등의 요인으로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 부산은 세계박람회의 주제로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를 제안했으나, 국제적인 지지도와 코로나19의 영향, 국내적인 지지도 등의 요인으로 유치에 실패했습니다.
2030년 세계박람회의 유치는 우리나라에게 큰 명예와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박람회의 유치에 실패했기 때문에, 많은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박람회의 유치에 실패했다고 해서 세계박람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포기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박람회의 참가국으로서, 세계박람회의 주제와 비전에 부합하는 우리나라의 산업, 과학기술, 문화, 환경 등의 발전과 변화에 대한 성과와 비전을 세계에 알리고, 세계 각국과의 협력과 공유를 증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세계박람회의 방문객으로서, 세계박람회의 전시와 행사를 통해 인류의 문명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그리고 미래의 발전 전망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다양한 문화와 인종, 종교, 사상을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세계박람회는 우리 모두에게 열려있는 행사이며, 우리 모두가 세계박람회에 대한 관심과 지지, 참여를 통해 세계박람회의 의미와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2030년 세계박람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들께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제와 해결방안 (24) | 2023.12.18 |
---|---|
광고의 부정적 기능과 그 대응 방안 (21) | 2023.12.15 |
MBTI 유행 현상: 한국과 다른 나라의 비교 분석 (49) | 2023.11.28 |
일본과 인도의 일인당 에너지사용과 출산 (69) | 2023.11.27 |
EU 배터리법에 대응하기 위한 K-배터리산업의 전략은? (60)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