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열두 번째 장편 영화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미국의 핵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원자폭탄을 개발한 역사를 다룬 영화인 오펜하이머가 곧 개봉 예정입니다. 오늘은 영화의 주제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맨해튼 프로젝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미국이 주도하고 영국과 캐나다가 공동으로 참여했던 핵폭탄 개발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최초의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매우 엄격한 기밀을 유지하며 진행되었으며, 전쟁 기간 동안 두 종류의 핵폭탄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핵폭탄은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와 8월 9일 나가사키에 투하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핵무기 제조가 최대 목표였지만, 방사능의 의학적인 이용이나 핵추진력을 이용한 해군력 확보와 같은 방사선학의 다양한 적용에도 관심을 두고 있었습니다.
맨해튼 프로젝트는 1939년 극소수 (처음 예산은 6천 달러였다)로 출발하였지만 1945년에는 고용 인구 13만 명, 사용 예산 약 20억 달러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2020년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약 230억 달러가 된다)로 성장하였습니다. 비용의 90% 이상은 공장의 건축과 핵분열 원료의 구입에 사용되었고, 10% 정도는 무기 개발에 사용되었습니다. 연구 개발과 제조는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 있는 30곳 이상의 지역에 분산되어 진행되었고, 일부는 기밀 지역이었습니다.
전쟁 기간 동안 두 종류의 핵폭탄이 개발되었습니다. 하나는 우라늄-235를 탄두로 사용한 포신형 핵분열 무기로, 자연에 존재하는 우라늄 가운데 0.7%를 차지하는 우라늄-235를 농축하여 탄두로 제작한 것입니다. 우라늄-235는 동위 원소인 우라늄-238과 원자량이 거의 같기 때문에 이 둘을 분리하여 농축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이었습니다. 핵탄두의 제조 공정은 농축 우라늄을 생산하는 공정과 캘루트론(영어: Calutron)이라 불린 동위 원소 분리 공정, 그리고 기체확산법과 열영동을 이용한 우라늄-235의 농축 공정이 있었습니다. 이 공정들은 대부분 테네시주 오크리지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또 다른 종류의 핵폭탄은 플루토늄을 탄두로 사용한 것이었습니다. 플루토늄은 워싱턴주 핸포드 사이트에서 만들어졌습니다. 플루토늄의 제법으로는 우라늄-238에 중성자를 조사(照射)하는 핵 전환이 사용되었습니다. 핵 전환으로 생성된 플루토늄은 화학적 분리 방법으로 농축되었습니다. 한편, 폭탄의 개발 및 제작은 뉴멕시코주에 있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에서 진행되었고, 포신형보다 복잡한 내폭형으로 설계되었습니다. 1945년 7월 16일 사상 최초의 핵폭발 실험인 트리니티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실험 이후 두 종류의 핵폭탄이 만들어졌습니다. 포신형 핵폭탄에는 리틀 보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내폭형 핵폭탄은 팻 맨이라 불렸습니다. 미 국방부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 투하를 결정하였습니다. 1945년 8월 6일 리틀 보이가 히로시마에 투하되었고, 8월 9일에는 팻 맨이 투하되었습니다.
맨해튼 프로젝트는 매우 엄정한 기밀을 유지하며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소련의 핵기술 첩보원들은 이미 프로그램 각 부분에서 암약하였습니다. 소련은 나치 독일의 독일 핵에너지 프로젝트에도 첩보원을 두고 있었고 양측의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 소련은 독자적인 핵무기 개발을 위해 독일의 핵 기술자를 납치하는 러시아 알소스 작전을 진행하였으며, 향후에는 맨해튼 계획의 핵 기술자를 납치하려는 계획도 세우고 있었습니다.
맨해튼 계획은 핵무기 제조가 최대 목표이긴 하였으나, 방사능의 의학적인 이용이나 핵추진력을 이용한 해군력 확보와 같은 방사선학의 다양한 적용에도 관심을 두고 있었습니다. 1947년, 맨해튼 계획의 업무는 미국 원자력 위원회로 이관되었습니다.
이상으로 블로그 글을 마치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영화•예술•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서울의 봄, 12.12사태의 배경과 과정을 알아보자 (59) | 2023.11.24 |
---|---|
'비공식 작전' 영화 소개와 그 배경에 숨겨진 실제 외교관 피랍 사건 (2) | 2023.08.16 |
아티스트와 창작 과정 5: 예술가들과 관객의 상호작용 (0) | 2023.08.03 |
아티스트와 창작 과정 4: 예술과 자아의 성장 (0) | 2023.08.03 |
아티스트와 창작 과정 3: 다양한 예술 형태와 작품들의 의미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