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입니다. 김성수 감독이 연출하고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등 연기파 배우들이 출연했습니다. 영화는 2023년 11월 22일에 개봉 예정이며, 한국 영화 사상 처음으로 12.12 군사반란을 모티브로 한 작품입니다.
https://naver.me/x3qHo7eU
'서울의 봄' 메인 예고편
네이버 영화 예고편 저장소
tv.naver.com
영화 서울의 봄의 등장인물과 실존 인물의 관계
- 전두광 (황정민): 전두환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한 인물입니다. 보안사령관으로, 권력을 잡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인물입니다. 선글라스를 쓴 강렬한 카리스마를 뽐냅니다.
- 이태신 (정우성):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을 모티브로 한 인물입니다. 반란군에 홀로 맞서 나라를 지키려는 인물입니다. 정의감과 군인정신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 정상호 (이성민):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모티브로 한 인물입니다. 반란을 막기 위해 힘쓰는 인물입니다. 차분하고 냉철한 판단력을 갖고 있습니다.
- 노태건 (박해준): 노태우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한 인물입니다. 9 사단장으로, 전두광의 부하로 반란에 가담하는 인물입니다. 충성심과 복종심이 강합니다.
- 김준엽 (김성균): 김진기 헌병감을 모티브로 한 인물입니다. 반란의 진실을 밝히려는 인물입니다. 정의로운 사건 해결을 추구합니다.
12.12사태와 영화 서울의 봄, 역사와 허구의 경계는 어디에 있을까?
- 영화 서울의 봄은 12.12사태를 바탕으로 하지만, 인물들의 이름과 성격, 행동 등은 상업적인 틀 안에서 재창작되었습니다. 영화 서울의 봄은 12.12사태의 전체적인 과정을 보여주기보다는, 몇몇의 인물에 초점을 맞추며 긴장감을 고조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에서는 전두광과 이태신의 대결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진행되었으며, 인물들이 느끼는 딜레마 등 심리를 허구에 기반해 세밀하게 표현하였습니다. 반면, 실제 12.12사태는 당시 군대들이 동원됐던 큰 규모의 사건이었으며, 다양한 인물들이 역할을 했습니다.
- 영화 서울의 봄은 12.12사태를 다룬 첫 대중영화로, 역사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그날의 9시간에 김성수 감독의 상상력, 배우들의 열연이 더해진 작품입니다. 영화는 역사에서 출발했지만 많은 허구가 가미된 이야기라고 김성수 감독은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픽션으로 감상하는 것이 좋습니다.
12.12사태
12 12 사태는 1979년 12월 12일에 발생한 군사반란 사건입니다. 당시 전두환,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과 다른 군 수뇌부들을 강제로 연행하고 군부를 장악했습니다. 이 사건은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민주화 운동의 확산을 막기 위한 쿠데타였습니다.
이 사건은 전두환이 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으로서 10·26 사건의 수사를 마치고 김재규의 단독 범행이라는 수사결과를 발표한 후에 시작되었습니다. 전두환은 정승화 총장을 제거하고 군부를 장악할 계획을 세우고, 하나회를 비롯한 동조 세력 규합에 나섰습니다.
12월 12일 오후, 전두환은 박희도, 최세창, 장기오, 차규헌, 노태우, 황영시 등 규합한 동조세력을 장세동이 있던 경복궁 내 수도경비사령부 여하 제30 경비단 단장실로 모이도록 한 후 시내 일원을 장악하기로 한 계획을 지시, 논의했습니다.
19시, 전두환의 지시를 받은 허삼수, 우경윤은 정승화 총장을 체포하기 위해 수도경비사령부 33 헌병대 50명을 투입했습니다. 이들은 정승화 총장을 뇌물 수수 혐의를 거론하여 총리 공관으로 확인 연락을 하려던 인원을 향해 총격이 일어나고 공관 내부를 제압했습니다. 정승화 총장은 두 대령에게 붙들려 세단차에 떠밀려 들어가고, 이미 점령된 공관 정문을 순조롭게 통과했습니다.
이후 전두환은 정승화 총장을 육군본부 벙커로 끌고 가서 강제로 사퇴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김진기 육군 헌병감 등을 숙청하고,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를 앞세워 군의 최고 실권자로 등장했습니다.
이 사건은 전두환이 1980년 5월 5·17 쿠데타를 일으키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고 대통령이 되는 데 이르는 신군부의 군권 장악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민주화 운동과 인권운동의 억압과 탄압을 초래하고, 국민의 정치적 자유와 인권을 침해하는 불행한 역사적 사건이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영화•예술•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노량해전의 배경과 과정을 알아보자 (92) | 2023.11.25 |
---|---|
'비공식 작전' 영화 소개와 그 배경에 숨겨진 실제 외교관 피랍 사건 (2) | 2023.08.16 |
맨해튼 프로젝트 : 오펜하이머 (1) | 2023.08.08 |
아티스트와 창작 과정 5: 예술가들과 관객의 상호작용 (0) | 2023.08.03 |
아티스트와 창작 과정 4: 예술과 자아의 성장 (0) | 2023.08.03 |